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예산표 만드는 법: 엑셀 없이도 쉽게 (2025년)

by arona 2025. 8. 5.

예산표 만드는 법

예산표 만드는 법: 엑셀 없이도 쉽게 (2025년)

작성일: 2025년 8월 5일

재테크의 시작은 예산표 작성입니다.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"엑셀을 못 해서", "귀찮아서"라는 이유로 시작을 미룹니다. 오늘은 엑셀 없이도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예산표 만들기 방법을 소개합니다.

종이, 메모장, 스마트폰 앱 등 내게 익숙한 도구로 간단하게 예산 계획을 세우는 방법이 핵심입니다.

1. 월 소득부터 확정하자

먼저 한 달에 사용할 수 있는 총 소득을 정확히 적습니다. 급여 외에 정기 부수입(월세 수입, 프리랜서 수입, 부모 지원 등)이 있다면 함께 포함하세요. 예: 250만 원(급여) + 20만 원(부수입) = 총 월 소득 270만 원

2. 지출 항목을 4가지로 나누기

예산은 아래 4가지 범주로 나누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입니다:

  • 고정비: 월세, 관리비, 통신비, 보험료, 학자금 등
  • 변동비: 식비, 교통비, 여가비, 외식비 등
  • 저축/투자: 적금, 비상금, 펀드, 연금 등
  • 비정기/기타: 경조사, 병원비, 의류, 예비비 등

각 항목에 얼마를 쓸지 목표 예산을 설정하고, 실제 지출과 비교할 수 있도록 칸을 나눕니다.

3. 손으로 쓰는 예산표 양식 예시

아래와 같은 표를 종이에 그리거나, 메모 앱에서 직접 표를 작성해도 됩니다:

항목 예산 실제 지출 차이
고정비 1,000,000 980,000 +20,000
변동비 600,000 630,000 -30,000
저축/투자 700,000 700,000 0
비정기 100,000 80,000 +20,000

※ 표는 자유롭게 응용 가능. 중요한 건 비율과 흐름을 기록하는 것입니다.

4. 예산 비율 추천 가이드

소득 대비 이상적인 지출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고정비: 40% 이내
  • 변동비: 30% 이내
  • 저축/투자: 최소 30%

만약 저축률이 20%도 안 된다면, 변동비를 줄일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점검하세요.

5. 스마트폰으로 예산표 관리하는 법

엑셀이 없어도 스마트폰으로 충분히 예산표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:

  • 메모앱 (iOS 기본 메모, 네이버 메모, 삼성 노트 등)
  • 가계부 앱 (편한가계부, 토스 소비 기능 활용)
  • Google Keep, Notion 등을 활용한 간단 표 형식 입력

핵심은 복잡한 도구보다 꾸준히 작성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.

맺음말

예산표는 ‘절약’이 아닌 ‘계획’을 위한 도구입니다. 지금 내 소비를 조정하고, 원하는 목표를 위해 돈을 정렬하는 습관을 만들어줍니다.

오늘부터라도 엑셀 없이, 종이나 메모장 하나로 나만의 예산표를 만들어 보세요. 그 순간부터 당신의 돈은 계획대로 움직이기 시작할 것입니다.

© 2025 arona. 무단 복제 및 재배포 금지.